[활동 한꼭지]성별이분법을 해체하고 싶었는데 성별을 강조하고 싶어질 때

성별이분법을 해체하고 싶었는데 성별을 강조하고 싶어질 때_유나

‘호스트바에 가는 여자들도 있는데 왜 성매매가 여성문제/폭력이냐’는 질문을 받을 때,
데이트성폭력에 행동통제가 포함된다는 기사에 ‘행동통제는 여자가 더 많이 하’므로 ‘서로 데이트폭력 중’이라는 댓글이 인기를 끌 때,
여성가족부 가정폭력 통계에 따르면 여성과 남성의 가정폭력 가해율이 비등하다는데 가정폭력 상담소 통계로는 피해자의 99.5%가 여성이라는 아이러니함을 목격할 때,
이와 같이 남성 피해자의 존재를 드러내며 여성을 가해자의 위치에 둠으로써 젠더권력이 없는 양하는 시도들을 만나면 위기감을 느낀다. 최근에는 몰카 피해자 중 남성이 어마어마하게 늘어났다는 식으로 기사를 작성해 불법 촬영을 가능케 하는 젠더권력을 삭제하려는 시도도 있었다.

이런 경험이 쌓일수록 ‘실재하는 성별권력관계가 없는 것처럼 여겨지면 어떡하지?’ ‘성별이 그릇일 뿐이건 어쨌건 성별이라는 걸 기준으로 차별하고 배제하고 역할을 부여하는 규범과 장치들이 아직도 공고한데 이게 없는 것처럼 운동이 흘러가면 안 되는데…’ 와 같은 경계심이 올라온다. 그러면 젠더 딱 박아놓고 말해야할 것 같고, 남성과 여성 있다고 말해야할 것 같다. 성별이란 게 이렇게 명확하게 있다고 말하려는 게 아니었는데 그렇게 말해야만 할 것 같은 위기감.. 성별이란 게 명확하게 있는 것처럼 성역할을 부여하고 편견과 차별을 정당화하는 사회에 문제제기해야 하는데 이상한 함정으로 빠져버린다. 보라뮤직페스티벌 추가서식 논란을 보면서도 함정에 빠졌었다. 다행히 복잡한 마음을 끌어안고 <양성평등에 반대한다>와 <평등의 몰락>, <부모와 다른 아이들> 같은 책과 성폭력 판례뒤집기 토론회, 이루머들과의 대화, 친구들과의 세미나를 거쳐 함정에서 벗어났다. 맥락을 훑을 여유가 생겼다. 또 다른 논쟁이 생기고, 위기감을 느끼면 나는 아마 다시 함정으로 들어갈 것이다. 내 스스로가 맥락을 살필 수 있는 여유를 유지하길 바란다.


책을 읽으며 내 마음을 다잡고 고민의 폭을 넓히는 데 도움을 준 부분 중 몇 개를 소개한다.

<양성평등에 반대한다>
여성주의는 젠더라는 사회적 모순을 독해함으로써 비가시화된 젠더를 드러내고 저항하지만, 그 과정이 젠더를 당연시하고 고정하는 몰역사적 방식이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끊임없이 젠더의 개념과 위치를 이동시키는 사유 방식이 필요하다. 11쪽

여성주의는 남성과 대립하고, 남성을 대체하고, 남성에 대항하는 개념이 아니라 새로운 사회로의 이행을 제안하는 사유이다. 여성주의는 가부장제의 반담론이 아니며, 그렇게 될 수도 없다. 다양한 인식자의 위치를 드러내고 그 입장과 조건을 경합하는 사유이다. 12쪽

나는 여성주의가 가부장제에 저항하는 담론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면서도 다양한 인식자의 위치를 드러내고 입장과 조건을 경합할 수 있지 않나? 여성주의가 왜 가부장제의 반담론이 아니고 그렇게 될 수도 없는지 잘 모르겠지만 (친구는 반담론으로만 남지 않고 인식론으로서의 여성주의를 강조하는 문장으로 읽었다고 한다. 그렇구나 싶기도 한데 반담론이면서 인식론이면 안 되는 건가? 철학적으로는 이 둘이 동시에 불가능한 뭐가 있는 걸까?) 현재의 모순을 드러내고 독해하면서 동시에 이를 역사적 구성체로 생각하고 개념과 위치를 이동시킨다는 문장에 동의한다. 기억하고 싶다.

<평등의 몰락>
이 조직, 활동가, 작가들은 ‘몰인종적’* 으로 소수자 우대정책에 반대하는 인종적, 보수적-자유지상주의적 ‘평등 페미니즘’, 게이 ‘규범성’을 추구했다.
*각주) 인종을 인지하지 않는 다는 것은 인종적 위계와 억압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결국 차별을 간과하는 효과를 낳는다. 112쪽

나는 문장에서 ‘인종’의 자리에 성별을 넣어도 의미가 통한다고 생각한다. ‘성별을 인지하지 않는다는 것은 성별적 위계와 억압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결국 차별을 간과하는 효과를 낳는다.’ 지금은 ‘인종’, ‘성별’ 등 사회가 억압하기 위해 만들어 놓은 ‘정체성A’ 의 정체에 대해 보다 적극적으로 고민하고 경합하는 시기인 것 같다.

친구들과 의견을 나누었던 ‘인종’ 이슈가 겹쳐진다. 2015년 미국 흑인인권단체 ‘전미유색인지위향성협회’에서 활동하던 레이첼 돌레잘이 흑인이 아님이 폭로되었다. 돌레잘은 스스로를 흑인으로 생각하며, 자신은 결코 백인이 아니고 자신을 백인이라고 규정할 근거가 없다고 반박했다. 정체성A가 ‘나는 누구인가’ 라는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구성된다면 정체성은 고정적이기 보다 유동적이다. 사회 제도, 장치, 억압이 유동적으로 뗐다 붙였다 할 수 있어야 할 나를 설명하는 여러 부분 중에 하나를 나 자체인 것처럼 만든다. 그리고 우리는 필요에 따라 정체성으로 나를 묶거나 묶이길 거부한다.

필요에 따라 동일한 정체성으로 묶고 묶이되 상호작용하는 계급, 성별, 지역, 인종, 성적지향, 성정체성, 종교와 같은 복합적인 조건/정체성들을 어떻게 하면 섬세하게 다룰까? 어렵지만 맥락을 살피기 위해 노력해본다. (지만 어렵다. 지만 노력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