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영화제 부스 참가 후기
| 
며칠째 감사준비와 회계이월, 밀린 글쓰기에 멀미를 느끼고 있었다. 때마침 10년간 이룸에서 진행한 캠페인 역사를 정리하던 차였는데, 아무래도 일이 밀려서 못갈듯 싶었다. 같이 하는 회의에 제출해야 하는 글을 다 못써서 못가겠다고 하니, 회의 미뤄줄 테니 같이 가자~ 한다. 오호라~~ 얼마 만에 거리로냐! 나가기 전까지 쓰던 글이 ‘왜 이룸에서 그토록 캠페인을 열심히 했는가’ 였는데, 답이 절로 나왔다. 이렇게, 나가길 좋아했던 구성원들이 있었으니 그랬겠지… 그렇게 오래간만에 가게 된 마로니에는 새 단장(언제 한 것인지 모르나, 내 눈엔!)되어 있었다. 한쪽에서는 무지막지한 무게감이 실린 영화가 상영되고 있었고, 그것을 의미심장한 표정으로 바라보는 관객이 띄엄띄엄 있었으며 그 주변엔 인권이라 하면 내노라, 하는 단체들의 부스들이 줄지어 있었다. 먼저 와 있는 양 옆의 단체 활동가들과도 반가움을 주고받고, 이런 곳에 오면 꼭 보게 되는 다른 단체의 활동가들과 인사하고 자리를 잡았다. 성매매 관련한 Q&A 전단지와 발행책자 등 홍보물을 펼쳐놓고, 전날 만들어 놓은 알록달록 종이도 매달고 준비완료!  | 

| 
홍보물을 다 펼쳐놓고 나서야 올해 인권영화제 슬로건이 제대로 보였다. ‘나 여기 있어요.’ 인권영화제 부스 참여 단체이면서도 올해 주제를 그제야 파악한다는 게 민망해서 상영작 리플렛도 보고, 행사 곳곳을 더 유심히 살펴보았다. 보고 싶은 사람은 누구나 볼 수 있는 영화제. 자본에 기대지 않고, 후원과 후원인만으로 이렇게 매해 지켜오고 있다는 것이 새삼스레 뿌듯하였고, 19회를 거치는 동안 ‘나 여기 있어요’라고 말할 수 있도록 지켜낸 이들에게 고마움도 들었다. 도심 한 복판의 공원에, 근처 초등학생들이 까르륵 거리며 뛰어다니고 이런 저런 부스를 여유롭게 순회하는 사람들도 있고, 영화 상영을 위해 분주히 움직이는 스탭들, 뜻 밖에 만났는지 흥겨움으로 얼싸안는 모습들, 이룸 부스에 와서 자신의 성매매에 관한 의견을 나누고자 하는 사람들….. 모처럼 밖에 나오게 했던 인권영화제 부스 참여는, 트위터, 블로그 등의 온라인과 늘 한정된 사무실 공간과는 다르게, 송글송글 땀을 흘려가며 더위를 체감하고, 미미한 바람일지라도 그 시원함을 피부로 느끼게 되는 것처럼, 사람들의 활기차고 다양한 모습에서 생동감을 느끼고 직접 마주하고 이야기 할 수 있어서 좋았던 것 같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