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물넷에 들어와 어느새 환갑…’588 여성들’이 뜨개바늘을 손에 쥔 이유는(경향신문, 180218)

지난 7일 서울 동대문구 용두동에 있는 ‘반성매매인권행동 이룸’ 사무실에 ‘청량리588’에서 일하던 중장년 여성 다섯 명과 활동가들이 모여 털실로 수세미를 만들고 있다. 최미랑 기자
지난 7일 서울 동대문구 용두동에 있는 ‘반성매매인권행동 이룸’ 사무실에 ‘청량리588’에서 일하던 중장년 여성 다섯 명과 활동가들이 모여 털실로 수세미를 만들고 있다. 최미랑 기자

지난 7일 서울 동대문구 용두동, 가정집을 개조한 ‘반성매매인권행동 이룸’ 사무실에 작업장이 열렸다. 도도(52·이하 모두 별명), 갱상도언니(64), 이호(62), 멍퉁이(67), 내맘대로(59)가 코바늘을 잡고 거실 한가운데 놓인 탁자에 둘러앉았다. “낮이나~밤~이나 나는 너만 보고 싶어~” 카세트에서는 트로트가 흘러 나왔다.

앞앞이 색색깔 털실을 놓고 수세미를 만드는 중이었다. “나는 뜨다 보니 고만 모자처럼 되어부렀네.” “괜찮아요. 그런 모양이 큰 그릇 닦기에는 또 좋거든요.” 영문을 모르겠다는 듯 이리저리 돌려 보는 ‘이호’에게 강사가 말했다. “이렇게 처음에 열 코, 그 다음엔 몇 코를 떠요?” “모양이 넓어져야 될 것 같은데 왜 좁아지죠?” 질문이 쏟아졌다.

이날 모인 다섯 명은 ‘청량리 588’에서 일하던 사람들이다. 스물 네 살에 거기 들어갔던 ‘내맘대로’는 이제 환갑을 바라본다. 형편이 나아지면 나갔다가 어려워지면 돌아오기를 거듭했다고 한다. 가정폭력, 이혼, 사연은 제각각이지만 모두 살 길을 찾으려 흘러들어가 거기서 반평생을 보냈다.

청량리588로 불려온 서울 동대문구 전농동 620번지 일대는 국내에서 가장 큰 성매매 집결지가 있던 곳이다. 젊은 시절 ‘유리방’에서 일했던 여성들은 나이가 들면서 점점 더 구석진 곳으로 밀려나는 것이 그 동네의 삶이었다. 중장년 여성들은 한 평이 채 못 되는 쪽방에서 먹고 자며 ‘영업’을 했다. 부엌도, 화장실도 제대로 돼 있지 않은 방에 머물면서 매달 200만~300만원의 ‘깔세’를 업주에게 내야 했다. 지난해 4월 청량리 재개발이 본격화되면서, 마지막까지 쪽방에 살며 버티던 이들까지 모두 다 그곳을 떠나야 했다. 일부는 서울역으로, 영등포역으로 떼밀려갔고 결국 다시 성매매로 되돌아갔다고 한다.

7일 오후 서울 동대문구 용두도의 반성매매인권행동 이룸 사무실에서 멍퉁이(67·별명)가 뜨개질을 하고 있다. 최미랑 기자.
7일 오후 서울 동대문구 용두도의 반성매매인권행동 이룸 사무실에서 멍퉁이(67·별명)가 뜨개질을 하고 있다. 최미랑 기자.

“그래도 내 세월 다 보낸 데가 거기야.” 딸기모양 수세미를 만들던 이호는 집결지가 철거돼 슬프다고 했다. “나는 거기 징하데이.” 옆에서 실을 뜨던 갱상도언니는 고개를 절레절레 흔들었다. “차도 안 다니는 눈 오는 날에도 그 눈을 맞고 서 있어야 되고, 장대같은 소나기가 와도 서 있어야 되고.” 암에 걸린 아들 병원비를 벌기 위해 성매매를 그만두고 나서도 호객꾼으로 일하던 시절을 떠올리며 그는 진저리를 냈다. 아들은 지난해 세상을 떠났다.

청량리제4구역 도시환경정비사업 추진위원회와 동대문구에 따르면 이 지역에 2020년까지 65층짜리 주상복합건물과 호텔·백화점이 들어선다. 지금 사업은 지지부진하다. 재개발 사업에 개입한 폭력조직, 그들과 결탁된 사업자들이 비리 혐의로 재판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성매매업소를 보호해준다며 돈을 뺏던 폭력조직은 재개발 이권에 손을 뻗쳐 여성들을 쫓아내고 이주보상비마저 가로챘다.

이룸 활동가들은 2005년부터 의료·법률지원 상담을 하면서 이곳 성매매 여성들과 인연을 맺어 왔다. 철거를 앞두고 남은 이들이 마음에 걸려, 상담으로 인연을 맺은 활동가들이 연락을 했다. 그렇게 모인 사람들이 성매매가 아닌 다른 살 길을 찾기 위해 모임을 시작했다.

“처음엔 매달 한 번씩 만나서 같이 밥을 먹었어요. 삶터에서 쫓겨나니 다들 우울증이 온 거예요. 마음이 가라앉고 여름이 되자 ‘일자리를 구하는 걸 도와달라’고 하시더라고요.” 고진달래 활동가는 “노인복지관에도 연락을 돌려 보았지만 이들을 위한 일자리를 찾기는 어려웠다”고 했다. 정부가 한때 이룸같은 민간단체와 협력해 성매매를 그만두겠다는 여성들에게 월 40만원의 생계비를 주는 등의 지원을 하기도 했지만 학력이 낮고 만성적으로 가난에 시달려온 이곳 여성들이 다른 밥벌이를 찾기는 불가능에 가까웠다. 대부분 집결지에서 오래 있었던 탓에 건강도 좋지 않았다.

청량리588 일대 업소가 모두 문을 닫은 이후인 지난 7월 이룸 활동가들이 청량리에서 쫓겨난 중장년 여성들을 데리고 강원도로 여행을 떠났다. 수십 년 머물던 지역을 떠나게 된 여성들은 이 여행이 끝나고 활동가들에게 “일자리 구하는 것을 도와 달라”는 말을 처음 꺼냈다고 한다. 해변을 걷는 유나 활동가(왼쪽)와 이호(62)의 뒷모습. 고진달래 제공.
청량리588 일대 업소가 모두 문을 닫은 이후인 지난 7월 이룸 활동가들이 청량리에서 쫓겨난 중장년 여성들을 데리고 강원도로 여행을 떠났다. 수십 년 머물던 지역을 떠나게 된 여성들은 이 여행이 끝나고 활동가들에게 “일자리 구하는 것을 도와 달라”는 말을 처음 꺼냈다고 한다. 해변을 걷는 유나 활동가(왼쪽)와 이호(62)의 뒷모습. 고진달래 제공.
그래서 머리를 모아 생각해낸 것이 공동 작업장이다. 이날 수업에 참석한 5명을 포함한 8명이 성매매를 벗어나려고 분투 중이다. 이미 전주와 대구, 부산 등에 지방자치단체 지원을 받는 공동작업장이 있고, 서울에는 영등포구에 사회복지법인 ‘윙’이 운영하는 작업장이 있다. 하지만 고령의 성매매 여성을 지원하는 곳은 찾기 힘들었다.

“택배 왔습니다.” 세 시간 남짓한 수업시간 동안 털실 상자가 세 차례 배달됐다. 그때마다 다들 아이같은 얼굴로 짝짝 손뼉을 쳤다. 후원자들이 보내주는 이 털실이 이들의 희망이다. 이룸 쪽에서 페이스북에 털실을 후원받는다는 글을 올린 뒤, 이름 모를 이들에게서 이런 택배가 오곤 한다. ‘응원해요’라는 글귀가 적힌 상자를 여니 색색의 실이 가득하다. “누구신지 몰라도 빨리 고맙다고 전해 드려야 해. 꼭 좀 전해줘.” ‘내맘대로’가 한 활동가를 붙잡고 말했다.

수업이 끝나자 다섯 사람은 각자 마음에 드는 실을 골라 들고 집으로 돌아갔다. 설 연휴 동안 수세미를 만들어 오면 이룸 활동가들은 만든 사람의 별명을 꼬리표로 달아 판매하고 만든 이에게 수익을 모두 돌려줄 계획이다. 22일에는 다 함께 과일청도 담근다.

7일 반성매매인권행동 이룸 사무실에서 열린 손뜨개 작업장에서 참석자들이 만든 수세미. 모양은 제각각이다.
7일 반성매매인권행동 이룸 사무실에서 열린 손뜨개 작업장에서 참석자들이 만든 수세미. 모양은 제각각이다.

고진달래 활동가는 “액수가 크든 작든 우선 성매매가 아닌 일로 돈을 버는 경험을 해보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했다. “다른 일을 할 수 있고, 갈 곳이 있는 분들은 여기서 이미 다 떠났어요. 다른 일을 찾을 수 없는 사람들만 남아 있었던 거죠. 이들을 돕는 건 사회의 책임이 아닐까요.”

반성매매인권행동 이룸 홈페이지 ▶ https://e-loom.org
페이스북 ▶ https://www.facebook.com/eloom2003
후원계좌 ▶ KB국민은행 093437-04-010540 예금주 : 반성매매인권행동이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