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1월4일 수요일에 아주대학교에서 <제11회 성평등문화 캠페인>이 있었어요. 아주대학교 성폭력상담센터는 대학 내 성차별을 근절하고 성평등한 문화를 정착 시킨다는 취지로 해마다 ‘성평등문화 캠페인’을 개최하고 있어요. 이날 이룸은 작년에 이어 올해도 ‘일상속의 성매매’라는 주제로 몇 가지 참여형 판넬을 준비해 부스를 운영했답니다.
이룸 상담소에 대한 기본 정보를 들은 후 만나는 판넬은 성매매산업 구조를 그린 도식이에요. 성을 파는 여성에 집중된 성매매 담론을 구매자, 업주, 사채업자를 경유하는 자본의 흐름을 통해 성매매를 개인(여성) 혹은 개인과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구조적인 문제로의 인식의 확장을 시도하는 내용을 담고 있지요.
다음은 ‘일상 속의 성매매’라는 주제에 걸맞게 성구매자와 성구매 동기와 관련해 호랑이 담배 피던 시절부터 전해 내려오는 편견을 바로잡고, 회사에서 ‘이 부장의 성구매 강요를 받는 김대리’라는 상황설정을 통해 학생들의 반응을 모아봤어요.
마지막 판넬 역시 참여 대상이 대학생인 만큼 성적비하, 접대문화, 호객행위로 매번 논란이 되는 대학 축제를 빌어 특정성(性)을 소비하는 방식으로 구매욕을 자극, 경쟁하여 이익을 얻는 대학축제 문화에 대한 비판과 더불어 모두가 같이 즐기는 축제를 만들기 위한 학생들의 아이디어를 들어봤어요.

부스 참여 상품으로 준비한 수면양말 덕분인지 학생들의 참여도와 호응이 꽤 좋았어요. 전에 이룸에서 나간 강의를 들었던 학생을 만나 반갑게 인사하기도 했죠. 이날 아주대 성평등상담소에서는 학생들에게 부스별로 참여 후 받은 도장을 모아 오면 상품을 주는 방식으로 행사를 진행했는데, 참여율을 높이는데 크게 한 몫 한 것 같아요.
※ 부스 참여 학생들 반응